정정화 『소진의 공간』색다름 출판, 서울문화재단 지원 |
2020 |
비디오 서사 분석 – 문학과 영화를 참조한 비디오 서사 특징 -기초조형학 연구, 20 권, 3 호 |
2019 |
영화 "Number 2"에서 숫자 2의 의미기초조형학 연구, 9 권, 4 호 |
2008 |
분할화면의 미학: 비디오/영화기초조형학 연구, 9 권, 3 호 |
2008 |
인터렉티브 아트에서 관람자들의 참가방식들기초조형학 연구, 8 권, 3 호 |
2007 |
미디어 나르시즘: 앤디워홀과 빅브라더기초조형학 연구, 7 권, 3 호 |
2006 |
판옵티콘현상과 비디오 작업들기초조형학 연구, 6 권, 2 호 |
2005 |
개념미술에서의 사진(존 발데사리와 더글라스 휴블러를 중심으로)한국사진학회학술지, 5 호 |
1998 |